반응형

 

 

서울시, 지역시설물별 등급 매겨 '하수악취' 잡는다신공법도 개발

 

 

- ‘서울형 하수악취 저감 기본계획수립 기술용역 착수4단계 관리계획 도입

- 하수악취 관리등급 부여하고, 악취정도민원 등 악취지도작성해 종합 맞춤관리

- 하수악취 저감 신기술 개발, 각 현장에 선택적 적용으로 효과 극대화민원 감소 기대

 

 

서울시가 지역별시설별 맞춤관리를 중심으로 보다 세분화고도화된 하수악취 잡기에 나선다.

 

지역별시설물별로 등급을 매겨 관리하는 하수악취 관리등급제4단계 관리계획을 도입해 실제 효과를 달성한다. 등급에 따라 서울 전역의 악취 정도를 색깔로 구분하고 지역별 민원발생 건수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는 악취지도도 마련해 종합적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각 등급에 맞는 하수악취 저감방법도 개발도입한다. 약품, 공기공급장치 같은 기존 악취저감방법 도입뿐 아니라 신공법을 개발하고, 빗물받이, 하수관로 등 각 현장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해 효과를 극대화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서울형 하수악취 저감 기본계획수립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현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술용역을 발주한 상태이며, 5월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가 '21년 말까지(20개월 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건물정화조, 공공하수도 시설물 등에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으로 악취농도를 87%까지 낮추고 관련 민원도 40% 이상 감소했다. 앞으로는 지역별 악취관리 편차를 줄이고 저감효과 측정의 정확성을 높여 하수악취 관리를 고도화하고 관련 민원을 더욱 줄이는 데 역점을 둘 계획이다.

서울시는 악취 저감사업의 일환으로 건물정화조에 악취저감장치를 설치한 결과 악취농도를 87%(황화수소 농도 415.4ppm) 저감했다. 공공하수도 시설물에는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해 악취농도를 78% 저감했다.

서울시 하수악취 민원은 7년 새 절반 가까이 감소하기는 했지만, 최근 들어 감소율이 정체되고 지속해서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 그동안 추진한 하수악취 저감대책이 정확한 효과 측정에 한계가 있고, 수요조사에 의해 사업이 추진돼 실효성 문제와 자치구별 편차 등 시스템 개편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서울시 홈페이지 응답소하수악취 민원현황 (최근 5년간)

년 도

하수악취 민원건수

2015

3,095

2016

2,634

2017

2,051

2018

1,983

2019

1,833

새롭게 도입하는 하수악취 저감을 위한 4단계 관리계획은 하수악취 관리등급 선정 각 등급별 목표관리제 하수악취 저감방법 강구 시범사업을 통한 목표 달성방안 검증 및 실제 적용이다.

1단계 하수악취 관리등급 선정 : 서울시 공간 특성 및 악취민원 수요에 따라 관리등급을 정하고, 서울 전역을 색깔로 구분해 볼 수 있는 시각형 악취지도를 마련한다. 악취지도는 공간별(중요도) 따라 분류하고 자치구가 선정한 악취관리 중점대상 지역인 총 50개소를 포함해 민원 발생 건수 현황 등을 내용에 담는다. 하수악취 관리등급 선정을 위한 세부기준 마련에도 중점을 둘 예정이다.

2단계 등급별 목표 관리제 : 황화수소(H2S) 농도 기준에 따라 등급별 하수 악취 목표 기준을 설정하고 목표 관리를 위한 측정 지점 선정 및 개수를 산정한다.

3단계 맞춤형 저감 방안 강구 : 목표 수준 이내 시 유지관리와 초과 시 각 구역별 강화된 저감 방법 등 등급에 맞게 하수악취 저감 방법을 기본계획에 담는다. 현장 여건에 적합한 기존의 악취 저감 방법(공기공급 장치, 약품, 스프레이 등)에 더해 신공법을 개발하며, 기존 악취차단 장치(낙차 완화, 맨홀 부관 및 인버트, 하수 박스 악취차단, 빗물받이 악취차단)를 현장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관리방안을 수립한다. 하수악취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강제배출형 정화조는 악취저감장치인 공기공급 장치의 정상 가동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4단계 등급별 적용 단계 : 목표 관리를 위한 시행방안은 물론 등급별 공간을 선정 후 목표 달성방안 검증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범사업 시행을 통해 효과성에 대한 충분한 성과분석을 진행한다. 특히 개별 공간이 아닌 규모 있는 하나의 지역을 블록화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하수악취 저감 위한 단계별 관리계획

모든 하수악취

등급이 포함된

자치구 선정

등급별 하수악취

저감방법으로

사업계획 수립

예산

배정

사업

진행

악취

측정

목표 달성 평가

 

서울시는 기본계획 용역이 완료되면 현재 추진 사업인 건물정화조 악취저감장치 실시간 모니터링, 시민자율환경감시단 운영, 도심명소도심 재생 하수악취 집중관리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해 생활환경 개선과 쾌적한 거리환경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자치구별 하수악취 저감 실적 평가를 통해 우수자치구를 포상하고 시민자율환경감시단이 참여하는 악취 발생지역 집중 점검 등 시민참여와 홍보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정화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서울형 하수악취 저감 기본계획 용역을 통해 글로벌 국제도시 서울의 도시품격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지역별시설별 특징을 반영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맞춤형 악취관리정책을 단계별로 추진해 하수악취 없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1  공공하수도 악취저감시설(예시)

 

정화조

공기공급장치

 

정화조 방류조에 공기를 불어넣어 악취물질인 황화수소 저감

공공하수도

하수관로

낙차완화장치

 

하수관로와 유입하수관 간의 낙차를 완화시켜 하수악취 발생 저감

맨홀내

부관 및 인버트

인버트:원활히 하수가 흐르도록 하여 퇴적물 등 방지

부관:맨홀내 단차완화

하수박스

악취차단장치

물을 분사하여 황화수소 등 악취물질 제거

빗물받이 악취차단 및 이설

악취차단장치 : 빗물받이로 하수악취가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

이설 : 횡단보도 앞 빗물받이 이설

 

 

참고자료 2 정화조 공기공급장치란?

 

정화조에서 발생한 오수를 하수관로로 방류 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공기를 주입하여 산화 · 탈기시켜 악취를 저감시키는 장치

공기주입장치 구성 : 브로워, 배관, 산기장치, 전기판넬

 

악취 저감원리 및 효과

- 저감원리 : 악취물질 산화 및 탈기에 의한 악취저감

H2S + 2O2 SO42- + 2H+

- 공기주입전 황화수소 100~350ppm의 고농도 악취가 보통 0.5~2ppm 정도로 순화

 

 

 

 

 

서울시, 지역_시설물별 등급 매겨 _하수악취_ 잡는다… 신공법도 개발.hwp
2.41MB

 

 

반응형

+ Recent posts